강아지가 종종 ‘꺽꺽’, ‘컹컹’ 하는 기침을 하거나, 숨을 헐떡이며 고개를 내미는 모습을 보인 적 있으신가요? 한두 번의 기침은 흔할 수 있지만, 하루에도 여러 차례 반복되는 기침과 호흡 곤란이 보인다면 단순한 감기는 아닐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특히 소형견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기관 협착증’의 주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강아지의 기도 협착이 의심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5가지 정보를 중심으로, 견종별 특징, 진단법, 치료 및 수술적 접근까지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선천적 연골 이상
기도 협착은 기관 내강(공기 통로)이 좁아지거나 연골이 무너지는 구조적 이상입니다.
특정 견종에서 선천적인 연골 기형이 흔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소형견 품종은 발병률이 높습니다.
✔️포메라니안
✔️요크셔테리어
✔️시츄
✔️치와와
✔️토이푸들
이들 견종은 태생적으로 기관 연골이 약하거나 납작해지는 경향이 있어, 나이가 들면서 만성적인 기침, 헛구역질, 무기력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이 크기 때문에 평소 주기적인 건강검진과 호흡기 증상 관찰이 중요합니다.
2. 만성 염증과 기도 자극
기관지 내부에 만성 염증이 생기면, 기도의 벽이 두꺼워지고 유연성이 떨어지며 지속적인 기침이 유발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자극 요인은 염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흡연, 미세먼지, 향초, 방향제
✔️알레르기성 기관지염
✔️이전 감염 후의 만성화
이러한 염증이 반복되면 점차 기관이 좁아지고, ‘컹컹’ 하는 마른 기침, 식사 중 혹은 산책 중의 헐떡거림이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침이 수주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 기관지염이 아닌 기도 구조 문제까지 동반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비만
강아지의 과체중은 단순한 체형 문제를 넘어, 호흡기계에 물리적인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가슴 부위에 지방이 많이 축적되면 기관이 눌리게 되며, 이로 인해 호흡 시 기관이 움푹 들어가고 공기 흐름이 불안정해집니다.
쉽게 숨을 헐떡이거나 운동 후 기침을 하거나 밤에 기침이 심해진 등 이러한 증상이 비만과 함께 나타난다면, 체중 조절을 포함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비만은 약물치료나 수술 후에도 회복에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관리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4. 연골의 구조적 붕괴
강아지의 기도 협착은 진행 정도에 따라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나눌 수 있습니다.
✔️1단계: 기관 내강이 약 25% 정도 좁아지며, 간헐적으로 마른 기침이 나타나는 수준입니다.
✔️ 2단계: 기관 내부 공간이 절반가량 줄어들고, 기침 빈도가 증가하거나 헛구역질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 3단계: 기관 내강이 75% 이상 좁아져 숨 쉬는 것 자체가 힘들어지며, 운동 후나 흥분 시 심한 호흡곤란과 함께 일시적인 기절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단계: 가장 심각한 단계로 기관 내강이 거의 붕괴된 상태이며 산소 부족이 쉽게 유발되며 응급 처치가 필요한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단계가 올라갈수록 기침은 더 잦고 격렬해지며, 호흡 자체가 강아지에게 큰 부담이 됩니다. 일상적인 활동조차 어렵게 만드는 질환인 만큼, 중등도 이상의 협착이 의심된다면 X-ray, 형광 투시 영상, 기관 내시경을 통한 정확한 진단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초기에 발견하고 조치를 취할수록 예후가 좋기 때문에, 보호자의 빠른 관찰과 병원 방문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5. 기관 스텐트 삽입술이 필요한 경우
기관 스텐트 삽입술(tracheal stenting)은 기도 협착이 구조적으로 심하거나,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시행되는 외과적 치료 방법입니다. 좁아진 기관 내에 금속성 또는 고탄성 소재의 튜브형 스텐트(stent)를 삽입해 기도 내강을 인위적으로 확장시켜 공기 흐름을 확보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기관 스텐트 시술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기관 협착이 3~4단계로 진행된 경우
✔️호흡곤란으로 실신하거나 산소 포화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
✔️약물요법 및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반복적인 폐렴, 흡인성 폐렴 등이 2회 이상 발생한 경우
✔️영상 검사상 기관 내강이 거의 폐쇄 상태에 가까운 경우
이런 경우, 스텐트 삽입을 통해 빠르게 호흡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보호자와 반려견 모두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기관 협착이 있는 강아지를 위한 생활 습관 가이드
기관 협착은 약물이나 수술만큼 일상 속 관리가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보호자가 강아지의 생활 환경과 습관을 세심하게 조절해준다면, 증상 완화는 물론 삶의 질도 크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목줄 대신 가슴줄 사용하기
목줄은 기관을 눌러 기침을 유발할 수 있으니, 가슴줄로 착용해 기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주세요.
더운 날씨에 격한 산책 피하기
너무 더운 날씨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실외 활동을 삼가고, 짧고 느린 산책 위주로 조절해 주세요.
체중 조절 철저히 하기
비만은 흉부 압박을 가중시켜 기도 협착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저지방 식단과 규칙적인 식사 습관을 유지해주세요.
실내 공기 질 관리하기
향초, 담배 연기, 먼지 등은 기관지를 자극하므로, 공기청정기 사용이나 자주 환기하는 습관을 통해 실내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해주세요.
급한 식사와 자극적인 음식 줄이기
빨리 먹거나 자극적인 간식을 섭취하면 역류성 기침이 유발될 수 있으니, 천천히 먹도록 퍼즐피더를 활용하고, 사료는 기관 건강에 맞는 제품으로 교체해보세요.
강아지 기관 협착 진단과 치료, BK심장동물병원
‘컹컹’, ‘꺽꺽’하는 기침을 단순한 소음으로 넘기지 마세요. 특정 견종에서 흔히 나타나는 기관 협착은 진단이 늦어지면 산소 부족, 실신, 폐렴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구조적 협착이 확인된 경우에는 내시경, 투시 영상, 스텐트 삽입 수술을 제공할 수 있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서울 왕십리 소재 BK심장동물병원은 강아지, 고양이 심장병을 포함한 강아지 질병을 심도 있게 진료하는 특화병원입니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수술이 가능한 처치실과 진료실, 편안하고 청결한 보호자 대기실이 갖춰져 있으며 심장학 박사 출신 의료진이 강아지, 고양이의 건강을 위해 편안하고 전문적인 진료를 제공합니다. 서울, 경기도권역 보호자들이 방문하기 좋은 병원으로 반려동물의 건강 검진 및 치료가 필요할 때 BK심장동물병원으로 채팅이나 전화 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